SwiftUI macOS 타이틀바 제거하기

iOS와 macOS를 모두 지원하는 멀티플랫폼 앱을 만들 때 SwiftUI는 아주 유용하다. 그런데 SwiftUI를 사용한다고 해서 모든 플랫폼에 다 깔끔하게 디자인이 적용되는건 아니다. macOS에서는 해당 앱에 대한 타이틀 자동으로 생성된다. 아이폰과 맥에서 다른거야 당연한 느낌인데, 비슷한 사이즈로 보이는 아이패드와 맥 모두에서 비슷한 사용자 경험을 주기위해서 타이틀바를 제거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타이틀만 제거하고 싶을 수도 있고, 타이틀 … Read more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4: 라이트세일 도메인 연결 방법

지난 글에서 라이트세일 인스턴스에 고정 IP를 설정했다. 이제 우리 워드프레스 블로그는 변하지 않는 고정 IP 주소를 갖게 됐는데, 문제는 그 주소가 12.123.123.XXX 같은 IP 주소라는 거다. 이런 주소는 기억하기도 어렵고, 방문자 입장에서 접속하기도 싫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만들기전 가장 먼저 구매했던 도메인을 라이트세일에서 연결해보겠다. 이 과정을 DNS(Domain Name System) 설정 이라고 한다. 도메인과 DNS란? 도메인은 웹사이트의 … Read more

SwiftUI 제스처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 해결 방법

SwiftUI를 사용해서 앱을 만들 때, .onTapGesture(), .gesture() 등 기본적인 제스처들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 상호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버튼 요소도 많이 쓰이지만, 제스처 속성도 상당히 많이 쓰이는 코드 중에 하나다. 보통 제스처를 통해 한 번 탭 했을 때의 동작을 정의한다던가. 아래와 같이 길게 화면의 요소를 탭 했을 때의 동작을 정의한다. 우선 간단하게 SwiftUI에서 .gesture()의 코드를 사용하는 … Read more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3: 라이트세일 고정 IP 설정 방법

지난 글에서 라이트세일 인스턴스를 만들었다. 이제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서버는 준비됐는데, 한 가지 문제가 있다. 현재 우리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할당된 IP 주소는 동적 IP라서 인스턴스를 재시작하거나 몇몇 상황에서 변경될 수 있다. 고정 IP가 필요한 이유? 고정 IP(Static IP)는 말 그대로 변하지 않는 IP 주소를 의미한다. 고정 IP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만약 IP가 바뀌면 … Read more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2: 라이트세일 인스턴스 설치 방법

도메인을 구매했다면, 워드프레스 블로그가 실제로 돌아갈 서버를 만들어야 한다. 나는 라이트세일 인스턴스를 통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설치했지만, 설치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모든 컴퓨터는 서버가 될 수 있고 서버만 있으면 어디든 설치할 수 있다. 심지어 내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 설치해도된다. 대신 그러면 다양한 사람들은 내 컴퓨터로 접속을 해서 내가 만든 워드프레스에 접속하게 될텐데 그러면 항상 컴퓨터를 24시간 켜놓은 … Read more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1: 도메인 구매 방법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만드는데 있어서 도메인이 필수적인건 아니다. 그런데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의 목적이 내 블로그를 운영하고, 다른 사람들이 들어와서 내 글을 소비하기를 위한 것임을 생각한다면 사실상 필수다. 만약 도메인이 없다면 내 블로를 숫자와 점으로 이루어진 IP 주소를 입력해서 들어가야 한다. 내가 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들어가는거야 즐겨찾기를 해놓거나, 아니면 계좌번호 외우듯이 외울수도 있겠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있어서 접근성은 … Read more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시작하기

나는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시작했다. 시작하는 블로그 첫 시리즈로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한다. 이 시리즈는 도메인 구매부터 시작해서 워드프레스를 만들고, 간단하게 설정하는 방법까지 전 과정에 대해서 다룰 예정이다. 우선 이 글은 워드프레스의 종류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하고, 어떤 플랫폼에 설치했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한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종류 워드프레스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