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미디어 관리 2: CDN 클라우드 프론트 설정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 라이트세일 S3 버킷을 생성했다면 이제 워드프레스 CDN을 통해 미디어 파일의 로딩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차례다. CDN(CloudFront)이 필요한 이유 기본적인 개념을 잡고 넘어가보자. CDN은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자이다. CDN을 통해 캐싱 및 빠른 속도로 배포가 가능하다. CloudFront는 AWS에서 제공하는 CDN 서비스이다. S3 버킷만으로도 미디어 파일을 저장할 수 있지만 CDN을 추가하면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이번 … Read more

워드프레스 미디어 관리 1: 라이트세일 S3 버킷 만드는 방법

워드프레스 미디어 관리: 시작하기를 통해 왜 미디어 관리가 필요한지 알아보았다. 이제 미디어 관리를 하기위해 라이트세일 S3 버킷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지난 글에서 설명했듯이 미디어 파일을 외부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옮기면 서버 용량 문제와 사이트 속도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라이트세일 S3 버킷이란? 라이트세일 S3 버킷은 AWS에서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쉽게 말하면 우리가 컴퓨터에 쓰는 … Read more

워드프레스 미디어 관리: 시작하기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언젠가는 맞닥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바로 워드프레스 미디어 파일 관리다. 처음에는 몇 장의 이미지 업로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블로그 운영 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백, 수천 개의 이미지와 파일이 쌓이게 된다. 이런 상황이 되면 두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바로 용량에 대한 문제와 사이트 SEO 관련 문제다. 워드프레스 미디어 관리가 필요한 이유 … Read more

워드프레스 파일질라 SFTP 사용 방법

이전에 포스팅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검색 등록이나 워드프레스 한국어 설정 등에서 파일질라에 대한 이야기를 잠깐 했다. 워드프레스에서 파일질라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서버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엔진 등록 과정에서 HTML 파일을 손쉽게 전송해서 등록을 쉽게 할 수도 있고 다른 서버운영에 필요한 파일을 옮기거나 아니면 가져올 수도 있다. 파일질라(FileZilla)를 사용해서 워드프레스에 SFTP로 접속하고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에 … Read more

워드프레스 네이버 검색 등록 방법: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이전 포스팅에서 구글 검색 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 국내 이용자들을 위해서는 네이버 검색엔진에도 등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검색 엔진 모두 등록하면 가장 좋다. 하지만 특히 네이버 검색엔진에 등록되지 않으면 국내 사용자들이 내 블로그를 찾기 어려울 수 있다. 국내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색 엔진은 네이버이니 말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네이버 검색 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에 … Read more

워드프레스 구글 검색 등록 방법: Google Search Console

워드프레스 만들기 시리즈를 통해 워드프레스 개설했다면 블로그 글을 쓰기 위한 모든 준비는 끝났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콘텐츠를 작성해도 검색엔진에 등록되지 않으면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다. 오늘은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구글 검색 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Google Search Console을 활용하면 내 블로그가 구글 검색결과에 노출될 수 있고, 검색 성능도 분석할 수 있다 Google Search Console이란? Google Search … Read more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8: https 설정 변경 방법

지난 글에서 워드프레스를 한국어로 설정하고 시간대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그런데 설정을 하다 보니 워드프레스 주소와 사이트 주소가 http로 되어있고, 변경할 수 없게 비활성화 되어 있는 걸 발견했을 거다. 이대로도 블로그 사이트를 접속하는데는 문제없지만 내부 설정을 변경하지 않으면 Mixed Content 오류를 방지하고 SEO에도 더 유리하다. 이번에는 워드프레스 내부 주소를 https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워드프레스 … Read more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7: 한국어 및 시간 설정

지난 글에서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 로그인하고 새로운 관리자 계정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영어가 편리하다면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보통의 한국인들은 한국어가 더 편할거라 생각한다. 이제 워드프레스를 한국어로 설정해서 더 편하게 사용해보자. 워드프레스 한국어 및 시간 설정 1. 관리자 페이지 접속 https://도메인주소/admin을 통해 접속하고 로그인 하자. 이미 이전 포스팅에서 접속한 상태라면 생략해도 된다. 2. 설정 메뉴 … Read more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6: 워드프레스 관리자 로그인 방법

지난 글에서 라이트세일에 SSL 인증서를 발급받고 도메인에 https 설정을 완료했다. 지금까지 서버 설정만하고 워드프레스는 접속도 하지 않았다. 이제는 실제 워드프레스 관리자에 로그인해서 블로그를 관리해려고 한다. 현재는 도메인 주소로 들어가면 샘플 페이지만 나오고, 어디서 블로그를 관리할 수 있는지 모를텐데 이제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를 접속해서 본격적인 블로그 세팅에 들어가겠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접속 방법 관리자 페이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 Read more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5: SSL 인증서 발급 https 설정

지난 글에서 라이트세일에 우리의 도메인을 연결했다. 이제 우리 블로그는 도메인 주소로 접속할 수 있지만, 브라우저에서 접속해보면 “안전하지 않은 사이트”라고 경고가 뜬다. 주소창 앞에 자물쇠 아이콘도 없다. 왜냐하면 http:// 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워드프레스에 SSL 인증서가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웹에서 클라이언트(예: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다. HTTPS란? 데이터를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