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시작했다.
시작하는 블로그 첫 시리즈로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한다. 이 시리즈는 도메인 구매부터 시작해서 워드프레스를 만들고, 간단하게 설정하는 방법까지 전 과정에 대해서 다룰 예정이다.
우선 이 글은 워드프레스의 종류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하고, 어떤 플랫폼에 설치했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한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종류

워드프레스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다. 나는 블로그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지만 웹사이트 역할로 만드는 경우도 많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 WordPress.com (호스팅형): WordPress 회사에서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
- https://wordpress.com/ko/
- 별도의 설치 없이 바로 사용
- 간편하지만 커스터마이징에 제한이 있고 고급 기능은 유료
- WordPress.org (설치형): 오픈 소스 WordPress 소프트웨어를 직접 서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
- 완전한 자유도와 커스터마이징이 가능
- 직접 서버를 관리
-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하기에 좋은 방식
그 중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워드프레스는 설치형이다.
설치형 워드프레스도 여러곳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 개인 컴퓨터에 설치
- 웹 호스팅 서비스 사용
-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이 중에서 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다.
보편적인 클라우드 선택지인 AWS Lightsail를 선택했다. 그래서 이 포스팅 또한 아마존 웹 서비스의 라이트세일을 이용한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에 대해 다룰 것이다.
라이트세일을 선택한 이유는 일단 가장 유명하고 큰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인만큼 인터페이스가 잘되어있고(처음 하는 사람에게는 어려울 수 있지만), 요금제 및 서비스 수준이 적절하다. 큰 서비스인만큼 안정적이고 사후 지원도 잘된다.
만약에 블로그가 성장할 경우 제공된 인스턴스 크기를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는 점도 있고 그 외 SSL, 로드밸런서, 스토리지 등 여러가지 확장도 편리하다.
마치며
앞으로 도메인 구매부터 시작해서, 라이트세일에서의 생성 및 설치, 그리고 워드프레스의 간단한 설정까지 다뤄볼 예정이다.
이 시리즈를 따라가면 누구나 자신만의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인 배경지식이 없어도 차근차근 따라할 수 있도록 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드는 방법에 대해 최대한 상세히 설명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