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포스팅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검색 등록이나 워드프레스 한국어 설정 등에서 파일질라에 대한 이야기를 잠깐 했다.
워드프레스에서 파일질라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서버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엔진 등록 과정에서 HTML 파일을 손쉽게 전송해서 등록을 쉽게 할 수도 있고 다른 서버운영에 필요한 파일을 옮기거나 아니면 가져올 수도 있다.
파일질라(FileZilla)를 사용해서 워드프레스에 SFTP로 접속하고 파일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파일질라란?
파일질라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FTP 클라이언트다.
FTP(File Transfer Protocol)나 SFTP(Secure File Transfer Protocol)를 통해 원격 서버와 로컬 컴퓨터 간에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인데, SFTP는 FTP보다 보안이 강화된 버전이다. http와 https처럼 말이다.
파일질라 사용 방법
1. 파일질라 설치하기

- 파일질라 공식 웹사이트(https://filezilla-project.org/) 접속 또는 한글 사이트(https://www.filezilla.kr/)
- Download FileZilla Client 버튼을 클릭
- 자신의 운영체제(Windows, Mac, Linux)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을 실행하고 설치 과정을 진행
2. 워드프레스 SFTP 접속 정보 확인하기
파일질라로 워드프레스에 접속하려면 보편적으로 다음 정보가 필요하다.
- 호스트(서버 주소)
- 사용자(유저네임)
- 비밀번호
- 포트(보통 SFTP는 22번 포트를 사용)
우리는 고정IP와 도메인 주소를 설정했기 때문에 호스트 주소를 알고 있고, 사용자이름도 알고 있다.
그리고 비밀번호는 처음에 라이트세일 인스턴스를 설치할때 SSH 키 페어를 만들어서 저장해 두었다.
포트는 보편적으로 22를 사용한다.
3. 파일질라로 워드프레스 접속하기
파일질라를 설치했다면 다음과 같이 진행하자.


연결 방법
- 사이트 관리자 실행
- 새 사이트 → 아무이름
- 프로토콜: SFTP
- 호스트: IP 주소 또는 도메인 주소
- 로그온 유형: 키파일
- 사용자: bitnami
- 키파일: pem 키 찾아서 업로드
새 사이트 이름은 그냥 내가 식별하는 이름이므로 적당하게 만들면 된다.
프로토콜은 보안을 위해 FTP가 아닌 SFTP를 사용하자. 그리고 호스트에는 내가 연결한 도메인 주소를 그대로 쓰면 된다. 혹시나 도메인을 연결하지 않았다면 고정IP를 넣어주면 된다.
로그온 유형을 키 파일로 설정하고 사용자명에 bitnami, 그리고 키파일을 디렉토리를 설정해주면 된다. 키 파일은 초반에 라이트세일 인스턴스를 만들 때 새롭게 만들어서 저장했다. 여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확장자가 .pem 으로 끝나는 파일이다.
만약에 .pem 키를 잃어버렸다면 새로운 SSH 키 페어를 새롭게 발급받아야 한다. 기존 인스턴스는 스냅샷을 만들어서 해당 스냅샷으로 새로운 인트턴스를 만들면서 SSH 키를 지정해야하는 아주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아주 귀찮지만 그래도 방법은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4. 워드프레스 디렉토리 구조
접속에 성공하면 서버의 폴더 구조가 보일 것이다.
워드프레스는 보통 다음과 같은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 AWS Bitnami:
/opt/bitnami/wordpress
- 일반 호스팅:
/public_html
또는/www
또는/httpdocs
워드프레스의 루트 디렉토리에는 다음과 같은 폴더와 파일들이 있다.
wp-admin
: 관리자 파일wp-content
: 테마, 플러그인, 미디어 파일wp-includes
: 워드프레스 코어 파일wp-config.php
: 설정 파일
5. 파일 전송하기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 왼쪽 패널이 내 컴퓨터이고, 오른쪽 패널이 서버 컴퓨터이다.(워드프레스)
- 업로드 하고 싶다면 왼쪽 패널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 앤 드롭
- 다운로드 하고 싶다면 오른쪽 패널에서 왼쪽으로 드래그 앤 드롭
워드프레스 파일질라 사용 방법을 마치며
파일질라를 사용하면 워드프레스 파일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검색 엔진 등록을 위한 HTML 파일 업로드뿐만 아니라, 테마나 플러그인 수정, 백업 파일 관리 등 다양한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파일질라는 워드프레스 관리자라면 꼭 알아두면 좋은 도구다. 좀 더 간편하게 사용하려면 워드프레스에는 파일 매니저라는 플러그인이 있지만 파일 전송을 위해 굳이 플러그인을 추가하기는 아쉽다.(별도의 백업 등을 위한거면 모를까)
플러그인은 추가 할수록 블로그가 무거워지고 블로그가 무거워지면 SEO에 좋지 않다. 파일질라가 어렵지도 않기 때문에 굳이 플러그인의 도움을 받을 필요도 없다.
매일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닌만큼 플러그인 보다는 파일질라를 사용하는 것을 아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