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블로그 만들기 7: 한국어 및 시간 설정

지난 글에서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 로그인하고 새로운 관리자 계정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영어가 편리하다면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보통의 한국인들은 한국어가 더 편할거라 생각한다.

이제 워드프레스를 한국어로 설정해서 더 편하게 사용해보자.

워드프레스 한국어 및 시간 설정


1. 관리자 페이지 접속

https://도메인주소/admin을 통해 접속하고 로그인 하자.

이미 이전 포스팅에서 접속한 상태라면 생략해도 된다.

2. 설정 메뉴

설정
설정

설정 메뉴의 일반을 찾아서 들어가자. 현재 영어로 되어있으니 Setting의 하위 메뉴 General을 찾으면 된다.

여기에서 Site LanguageEnglish라고 되어 있는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자.

3. 한국어 언어 설정

워드프레스 한국어 설정

메뉴에서 한국어를 찾아 선택하여 변경해주자.

한국어 메뉴가 없다면?

간혹 워드프레스에 한국어 언어 파일이 없는 경우가 있다.

드롭다운 메뉴에 한국어가 없다면 한국어 언어 파일을 업데이트하거나 별도로 다운받아서 설치해줘야한다.

대시보드의 업데이트 메뉴에서 언어 파일 업데이트가 있다면 업데이트 해주면되고 그럼에도 없다면 별도로 최신 버전의 한국어 워드프레스 릴리즈를 다운받아서 언어 관련 폴더를 직접 FTP를 통해 전송해줘야한다.

파일질라 한국어파일
파일질라를 통한 한국어 파일 전송 예시

한국어 버전 다운로드 사이트

위 사이트로 들어가서 최신 버전을 다운받은 뒤, 해당 파일의 언어 파일만 별도로 전송한다.

wordpress > wp-content > languages 폴더를 편한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전송하면 된다.

위 이미지는 파일질라를 통한 FTP 전송 예시인데, 파일질라 사용법에 대한 자세한건 나중에 다루겠다.

4. 워드프레스 시간 설정

워드프레스 시간 설정
워드프레스 시간 설정

언어를 변경했다면 추가적으로 시간도 함께 변경하자.

아래에 있는 시간도 UTC+9 로 바꿔주자. UTC는 세계 협정시인데 거기에서 9시간을 더한 시간이 한국의 시간이다.

날짜 표시 형식시간 표시 형식은 자신이 편리한대로 바꿔주면 된다.

나는 년, 월, 일이 모두 나오는게 좋아서 첫 번째에 있는 형식으로 선택했다.

5. 변경사항 저장하기

페이지 하단의 변경사항 저장(Save Changes) 버튼을 통해 변경된 사항을 저장하자.

요즘 그냥 변경하면 바로 적용되는 여타 앱들과 달리 워드프레스는 모든 사항을 항상 저장해줘야 정상적으로 반영된다.

정상적으로 변경했다면 워드프레스의 모든 메뉴와 설명이 한국어로 변경된다.

워드프레스 언어 및 시간 설정을 마치며


이제 워드프레스가 한국어로 설정되었다.

한국어 설정 뿐 아니라 시간 설정을 통해 날짜 형식, 시간 표시 등도 함께 변경하여 더 편리한 환경에서 블로그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방금 설정을 하다보니 우리가 이전에 도메인 주소의 프로토콜을 https로 설정했는데 해당 워드프레스 주소, 사이트 주소 섹션에는 http로 되어있을 것이다.

그런데 해당 부분이 변경할 수 없는 상태로 비활성화 되어 있을 것이다.

다음 포스팅을 통해 워드프레스 내부 주소 https 변경 하는 법을 알아보겠다.